장전 매매계획
▣ 포지션
국제 원유 (Crude Oil 23.11) 롱 60%
S&P 500 숏 40%
▣ 포지션 근거
각 포지션에 대한 근거는 아래와 같다.
국제원유 (Crude Oil)
1. 이스라엘 - 팔레스타인 전쟁
- 이란의 참전 가능성 (++)
만약 정말 반미 감정이 짙은 이란이 참전하게 되면 국제 원유는 폭등하게 된다.
현재 추이로 봤을 때 양측 사상자가 계속 발생하고 있고 미국 바이든 대통령이 전쟁을 중재하기 위해 중동으로 떠났는데 중재하기는 쉽지 않아보인다.
일단 이렇게 생각하게 된 계기는 현재 시점에서 봤을 때 미국 바이든 대통령이 해결해야할 과제가 너무 많다.
내부적으로는 11월에 있는 하원의원과 부채협상, 고금리 환경에서 인플레와의 싸움 만해도 벅찬데 대중무역 제재(반도체 등), 러시아-중국, 중동지역과의 관계 등 지정학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도 많다.
이번 전쟁을 해결하기 위해선 무슬림과 유대인 간의 이상적인 중재안 (난민 정착촌 건설 등)을 가져와야할 것이며 주변국 시리아, 이집트, 레바논, 이란 등의 내부 사정을 고려했을 땐 서로 팔레스타인 난민을 받아줄 여력이 없어보인다.
이번 전쟁이 단기간에 끝낼만한 획기적인 중재안을 가져오지 않는 이상 중재하긴 쉽지 않을 것이며, 1차 석유파동이 있었듯 중동 국가에서 원유를 정치적인 무기로 사용할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다.
(그래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중동지역과의 관계도 좋지 않은 미국이 유가 폭등 우려 때문에 지원 결정을 쉽사리 내리지 못하는 것 같아보인다. 전쟁이 확산되는 것만은 막기 위해서 항모를 보내는 판단까지만? )
더군다나 하마스의 경우엔 하마스 vs 이스라엘로만 봤을 땐 단연 이스라엘의 전력이 압도적으로 우세하지만 무슬림 vs 유대인 관점으로 보게되면 이야기는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을 것 같다. 암묵적으로 이란의 지원을 받고 있다고 의심되는 헤즈볼라 무장단체의 참전, 이스라엘을 향한 이란의 참전 경고 등 여러가지 전쟁 장기화 가능성들이 존재하고 있다고 본다.
이건 생존권이 달린 문제기 때문에 이스라엘이 하마스를 척결하고 팔레스타인들을 내보낸다고 해도 계속 이스라엘 자국 내에서 팔레스타인 무장단체의 테러의 여지는 남아있을 것이며 깔끔한 승리라고 보기 어렵다. 양측 간의 관계가 많은 사상자로 인해 고조된 상태라 전쟁 상황은 쉽게 끝나지 않을 것이라 보고 있다.
2. 그 외 개별 이슈
- 베네수엘라 제재 완화 전망 발표 (-)
내년 베네수엘라의 공정한 선거를 보장하는 대가로 미국이 제재를 완화한다는 발표다. 하지만 일각에선 베네수엘라의 생산량을 10년전 수준으로 되돌리려면 막대한 설비 투자가 필요하고 베네수엘라산 석유는 중질유라서 정제시설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이또한 설비가 갖춰져있지 않아서 단기적으로 국제 석유 시장의 공급 부족에 미치는 실질적인 영향은 적을 것이라 보는 시각이 많다.
- 러시아 중앙은행, OPEC+ 24년 원유 생산량 증가 가능성 논의 발표 (-)
이거는 아직 가능성을 논의하는 단계라서 실질적인 영향은 단기 이슈로만 끝날 재료로 보인다.
미국 지수 S&P 500
1. 개별 기업들의 Q3 실적 발표 시즌
- 고금리에 강한 금융 · 보험주 실적 (+), 경기민감주 및 엔비디아 매도세 (-)
사실, 금융 보험주의 실적은 고금리 환경에서 예대마진 사업으로만 먹어도 이익을 낼수 있는 구조라 당연히 좋게 나올 것이라 보고 있었다. 개별 금융주의 상승으로 하락폭은 방어할 수 있을 듯 하나 오늘 실적 발표되는 종목들을 봤을 때 하락세가 더 강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 테슬라, 프록터 앤드 갬블, FRCB 지역은행주 (-)
- 넷플릭스, 모건스탠리, U.S 뱅코프, 킨더모건, ALLY (+)
테슬라는 솔직히 Q3 인도량 발표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이번 분기는 인도량이 예상치보다 하회할 것으로 보고 있고 그로 인해 어제 발표된 대중무역 반도체 규제 때문에 나락간 엔비디아 매도세에 한층 더해 매도세가 심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2. 10년물 국채금리, 유가 상승 (-)
어제 10년물 국채금리가 5% 가까이 도달했다.
장기 국채 금리와 유가 상승은 인플레 촉진, 결국 지수 하락을 불러올 것이라 보고 있다. 특히 요새 추세로 봤을 때 대형 기술주 위주의 매도세가 강한 것으로 보아 S&P500, NASDAQ 지수 숏 포지션이 좀 더 안전할 것으로 보고 있다.
떨어지는 라인은 100일선 4250 정도까지 보고 있다. 보수적으로 잡으면 4320.
'투자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전 매매전략 (23.10.23) (2) | 2023.10.22 |
---|---|
매매일지 (23.10.19) (0) | 2023.10.19 |
매매정리 (23.10.17) (1) | 2023.10.18 |
장전 매매전략 (23.10.17) (4) | 2023.10.17 |
장전 매매전략 (23.10.16) (1) | 2023.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