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
https://eastbirdman.tistory.com/98
원유 분석 (23.11.08)
일단 오늘 SPR bidding과 함께 중국 경제 여건으로 인해 유가가 큰폭으로 하락했다. (근데 사실 이정도까지 흘러내릴지는 예상치 못함..) 여기서 유가 상승론 관점에서 체크해봐야할 뉴스는 이란 제
eastbirdman.tistory.com
https://eastbirdman.tistory.com/109
매매일지 (23.11.13)
▣ 데이트레이딩의 목적 재료와 근거를 충분히 탐색한 후 이에 맞게 포지션을 베팅하고 싶다. 매일 꾸준한 수익을 내는 것이 목표이므로 하루 최대 2번 거래한다는 생각으로 신중하게 매매해보
eastbirdman.tistory.com
어제 내가 정리한 원유 상승 재료는 아래와 같다.
재료 1. 최근 3거래일 동안 낙폭 과다 (과매도)
재료 2. OPEC+ 11월 보고서(Monthly Oil Market Report) 발표에 따른 중국의 수요 둔화 우려 해소
재료 3. 러시아 원유재고가 2월 이후 최저치
재료 4. 미국 SPR 다시 채우는 기간이라 재고도 부족할 것으로 전망
재료 5. 며칠전 러시아, 사우디 쪽 감산 발표 영향
광래형 아침 보고서 요약
[원유]
OPEC이 2023년 원유 수요 전망치를 상향 조정한 영향, 기술적 반발 매수세 유입이 상승 요인이었다는 것
<수요>
- OPEC+ 11월 보고서 (MOMC)에 따르면, 금년 원유 수요 전망치를 전년 대비 250만bpd 증가한 10,210만bpd로 예상
- 전월 대비 10만 bpd 상향 조정된 수치 (역시... 수요 둔화가 아니었다.)
- 상향 전망의 근거로 미국, 일본, 러시아 등의 수요 증가와 더불어 중국 4분기 원유 수요 전망을 상향 조정한 점을 제시
- 2024년 원유 수요는 하루 220만 bpd 증가할 것이며 기존 전망을 유지함
<공급>
- 공급 전망치는 비OPEC국가들(미국, 브라질, 노르웨이, 가이아나, 멕시코, 중국)의 증산으로 10만bpd 상향 조정된 180만bpd 증가를 예상
- 2024년 전망치 또한 140만bpd는 기존 전망을 유지
- 보고서는 원유 시장내 수급과 펀더멘털은 여전히 강하며 최근 수주간 하락 추세를 보인 이유는 헤지 펀드를 비롯한 투기포지션들의 대규모 매수포지션 청산이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OPEC+의 다음 회의는 11월 26일 예정되어 있음.
- 한편 세계 최대 원유 수입국인 중국이 12월 사우디에게 원유 수출 물량을 소폭 줄여줄것을 요청
- 이는 최근 중국 내 수요 감소와 더불어, 전세계적인 석유 제품 수요 감소에 따른 중국 석유 제품 수출 감소를 주요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실제로 중국내 Teapot 정유업체들의 시설 가동률은 10월과 11월 이례적으로 평년 대비 10%p 가량 감소했으며 정유 마진도 최근 톤당 500위안 가량 역마진이 발생하는 등 수요 부족에 따른 가격 하락이 본격화되고 있음
- 미국 재무부가 서방국들의 제재를 회피하는 100개 유조선들의 관련 업체들과 개인들을 제재하는 움직임을 보인 점도 유가를 자극했다. 현재 미국을 포함한 서방국들은 러시아산 원유에 대해 배럴당 $60를 상회하는 물량은 서방국들이 제공하는 유조선, 보험, 금융 시스템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다만 러시아는 자국과 연계된 업체들을 통해 비밀리에 유조선을 운행 중이며 미세한 ‘가격 조정’과 가격상한제에 동참하지 않는 중국과 인도에 해상수출 물량 중 90% 가량을 제공하고 있다. 인도는 특히 우크라이나 사태 이전과 비교해 원유 수입량을 약 70배 가량 늘렸으며 인도에서 정제된 석유 제품들 대부분은 다시 유럽으로 수출된다. 결과적으로 약간의 가격제한 효과가 있기는 하지만 최종 목적지는 여전히 유럽인 무늬뿐인 제재에 불과하다.
[천연가스]
전일 천연가스 가격은 5% 급등했다.
겨울철 날씨 예보가 기존보다 추워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겨울철 난방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과 LNG 수출 물량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점이 천연가스 가격을 끌어 올렸다.
지난 일요일 미국 내 천연가스 생산량은 1,086억cfd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LNG 수출 물량이 149.3억cfd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영향에 강한 매수세를 유발했다.
'원자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유 - 5일 휴전 협상 + 지정학적 리스크 (0) | 2023.11.20 |
---|---|
원유 분석 - 남미 베네수엘라와 가이아나 (1) | 2023.11.15 |
원유 분석 (23.11.08) (3) | 2023.11.08 |
에너지 정보청, EIA - 미국 전략비축류 (SPR), 원유재고 통계 (0) | 2023.11.08 |
원유 · 천연가스 현황 정리 (0) | 2023.11.07 |